무더운 여름철, 해외여행 많이 다녀오는 시기죠. <br /> <br />아프리카나 인도 등의 더운 지역을 여행할 때, 이것 꼭 챙기라는 말, 들어본 일 있으실 겁니다. <br /> <br />바로 '말라리아 예방접종'입니다. <br /> <br />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옮깁니다. <br /> <br />이 모기들은 그동안 열대지방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요. <br /> <br />이제는 한국도 안전하진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지난주까지 확인된 국내 말라리아 환자, 모두 513명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같은 시점은 211명에 불과했는데 2배가 넘게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벌써 지난해 1년 동안의 환자 수보다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대로 간다면 올해 연말까지는 7백 명 안팎이 감염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이유, <br /> <br />올해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말라리아 확산에 유리한 덥고 습한 환경이 조성된 겁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경기도 파주에서 잡힌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유전자가 확인되면서,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올해 처음으로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는데요. <br /> <br />지역별로 보면 파주, 김포 지역은 전체 환자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발생 빈도가 높고요. <br /> <br />이외에 인천과 강원 일부 지역도 잦은 발생지로 분류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 자주 관찰되는 관련 감염균은 '삼일열' 말라리아입니다. <br /> <br />48시간을 주기로 구토, 발열,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났다가, 호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도 제대로 치료받으면, 열대지역 말라리아와는 달리 치명률은 낮습니다. <br /> <br />제때 치료받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증상 잘 살펴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예방하는 확실한 방법은 물론, 모기가 활발한 야간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일인데, <br /> <br />현실적으로 쉽진 않겠죠. <br /> <br />모기 기피제를 자주 몸에 뿌리는 것이 도움이 되겠고요. <br /> <br />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, 앞서 말씀드린 국내 위험지역 거주자 가운데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, <br /> <br />인근 보건소 등에서 신속히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희재 (parkhj02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1612363316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